-
공기와 물에서 추출한 단백질: 지속 가능한 미래 식량 혁명미래식량 2025. 4. 6. 19:00
공기와 물에서 추출한 단백질: 지속 가능한 미래 식량 혁명
1. 공기와 물에서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이란?
공기와 물에서 단백질을 추출하는 기술은 기존의 농업 및 축산업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식량 생산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기술은 미생물을 활용하여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CO₂), 질소(N₂), 수소(H₂) 및 물(H₂O)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혁신적인 단백질 생산 방식은 전통적인 농업 기반 식량 생산과는 전혀 다른 접근 방식을 제공하며, 기후 변화, 인구 증가, 자원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공기와 물에서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의 개념은 사실 새로운 것이 아니다. 과거 1960년대와 1970년대, 우주 탐사를 위한 대체 식량 연구 과정에서 이와 유사한 아이디어가 처음 제안되었으며, 당시 NASA(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우주비행사들에게 지속적으로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는 방법으로 미생물을 활용한 단백질 생산 기술을 연구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실용화되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부각되면서, 공기와 물에서 단백질을 추출하는 기술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 사례로는 Solar Foods(핀란드), Air Protein(미국), Deep Branch(영국) 등의 기업들이 있으며, 이들은 바이오기술과 신재생에너지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단백질 공급원을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상용화되면 농지나 가축 사육 없이도 대규모 단백질 생산이 가능해져, 식량 생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2. 공기 기반 단백질(Air Protein) 생산 기술
공기에서 단백질을 생산하는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는 수소 산화균(Hydrogenotrophs)을 이용한 단백질 생산이다.
이 기술은 특정 미생물이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CO₂)와 수소(H₂)를 이용하여 발효 과정을 거쳐 단백질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만들어진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가공 과정을 거쳐 식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 농업 방식에 비해 훨씬 적은 자원(토지, 물, 비료 등)을 사용하면서도 환경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 기술을 연구 및 개발하는 대표적인 기업과 연구 기관들은 다음과 같다.
- Solar Foods (핀란드)
- ‘Solein’이라는 미세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공기 중의 CO₂를 흡수하여 단백질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기존 농업 대비 환경 영향이 매우 적다.
- Solein 단백질은 맛이 거의 없고, 다양한 식품에 적용 가능하다.
- Air Protein (미국)
- NASA의 우주식량 연구에서 영감을 받아, 공기 중의 질소와 탄소를 이용해 단백질을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육류 대체 단백질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 Deep Branch (영국)
- 산업 공정에서 배출되는 CO₂를 활용하여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을 연구 중이다.
- 지속 가능한 축산 사료 대체제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공장형 단백질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기후 변화 및 식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 물 기반 단백질(Water-based Protein) 생산 기술
물에서 단백질을 추출하는 기술은 주로 조류(藻類, Algae) 및 박테리아를 이용한 단백질 생산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 미세조류(Microalgae) 기반 단백질
- 해조류(예: 스피루리나, 클로렐라) 및 미세조류에서 단백질을 추출하여 식품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 해조류는 육상 작물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빠르게 성장할 수 있어 지속 가능성이 높다.
-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Corbion(네덜란드), Algama(프랑스), Helaina(미국) 등이 있다.
- 바이오리액터(Bioreactor)를 이용한 수중 단백질 생산
- 특정 미생물을 배양하여 물에서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 물속에서 자라는 미생물을 활용해 배양된 단백질을 정제하여 식품으로 가공한다.
이 기술들은 기존의 어업이나 수산업과 달리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단백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공기·물 기반 단백질의 장점
- 환경 친화적
- 전통적인 농업 및 축산업 대비 토지와 물 사용량이 거의 없다.
- 가축 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CH₄) 배출을 줄일 수 있다.
-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태양광, 풍력 등)과 결합하여 더욱 친환경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 고영양성
-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기존 단백질 공급원(육류, 콩 등)과 비슷한 영양 구성을 가진다.
- 맞춤형 영양 조절이 가능하여, 특정 영양소를 강화한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
- 식량 위기 해결 가능성
- 인구 증가에 따른 단백질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획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 개발도상국 및 식량난이 심각한 지역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5. 미래 전망
공기와 물에서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미래 식량 산업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기적으로는 연구 및 실험실 수준의 생산이 계속 진행될 것이며, 고급 건강식품 및 기능성 식품으로 먼저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 중기적으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 기존의 육류 및 대체 단백질 시장과 경쟁하게 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우주 탐사, 극한 환경(사막, 해양, 남극) 등에서 단백질을 생산하는 주요 방식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크다.
기후 변화, 식량 위기, 지속 가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물 기반 단백질 기술은 향후 10~20년 내에 핵심 식량 혁신 기술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관련 연구와 기술 개발이 더욱 발전한다면, 인류가 보다 지속 가능한 식량 생산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미래식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직농장이 도시의 먹거리를 바꾸는 방식 (0) 2025.04.15 푸드 셰어링 플랫폼: 음식물 낭비를 줄이는 지속가능한 해법 (0) 2025.04.15 식품 코팅 기술: 유통기한을 늘리고 식품 손실을 줄이는 미래 솔루션 (0) 2025.04.13 작지만 강한 작물, 허브! 텃밭에서 키우기 좋은 허브 이야기 (0) 2025.04.13 식량 보존 기술 혁신(Food Preservation Technology) (0) 2025.04.06 친환경 농업을 위한 기술 혁신: 지속 가능한 농업으로 가는 길 (0) 2025.04.06 농업용 로봇과 드론: 자동화가 가져올 농업 혁신 (0) 2025.04.06 스마트 농업이 바꾸는 미래: AI와 IoT가 결합한 정밀 농업 (0) 2025.04.06 - Solar Foods (핀란드)